
◎ 원인
1. 전신성 질병이 없는 경우
- 사료의 변질
- 이물질 먹음
- 기생충 감염 시
- 약물 오용, 남용
- 멀미, 현기증, 정신적인 쇼크
- 미주신경 및 교감신경의 자극
2. 전신 질병이 있는 경우
- 편두통, 간질, 급성간염, 뇌 및 뇌수막 질환, 내이의 전정기관 질환
- 위, 장관 계통의 원인이 아닌 신경계통, 간 질환, 복막염 등으로 인한 경우
- 위 확장과 염전, 장염, 장폐색, 장 중첩, 궤양, 기생충 감염, 이물질 등의 원인인 경우
- 횡경막 헤르니아, 약물, 독성 물질(납, 인, 비소 등등)등으로 인한 경우
- 식도 경색, 식도 경련, 식도협착, 식도 게실 등과 같은 인두 식도의 이상인 경우
- 신부전, 사구체신염 등과 같은 신기능 장애 시
3. 음식을 먹자마자 구토하는 경우는 과식이나 폭식, 위염인 경우가 많음.
4. 음식을 먹은 후에 8시간 정도 경과 후 구통인 경우는 신경 자극으로 인한 위 폐색이나 위 운동 저하가 원인인 경우이다.
◎ 증상
- 다량의 침 흘림이나 연하곤란, 불안으로 인한 구토
- 설사, 복부 불쾌감, 체중 감소, 식욕 부진
- 발령, 탈수, 구취, 지나친 복명(장에서 나는 소리), 흑색변
◎ 진단
1. 전신 질병 증상이 없는 경우
- 병력, 육안적 검사
- 방사선 검사 : 이물 등이 의심되면 조영술을 실시한다
- 내시경 검사
- 시험적 개복술
2. 전신 질병 증상이 있는 경우
- 혈액검사 : 백혈구 증가 등등
- 혈청 검사
- 뇨 검사
- 대변 검사 : 기생충 검사
- x-rays, 위 내시경 검사
3.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
- 병력 : 최근 약물 사용 여부와 기침을 하는지 여부
- 육안검사 : 입, 코 주변에 혈흔이 있는지와 피부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조사
- 실험실 조사 : 혈액검사, 혈청검사, 요 분석
- 내시경 검사
4. 급만성 신부전과 간질병과 중독도 검사해야 한다.
◎ 치료
1. 전신 질병 증상이 없는 경우
- 12시간 동안 사료와 물 공급을 중단
- 그 이후에는 조금씩 공급
- 지방성분이 적은 사료를 공급하고 간식은 급여를 중단한다.
2. 전신 질병 증상이 있는 경우
- 12시간 동안 사료와 물 공급 중단
- 탈수 방지를 위해 수액 처치
- 제토제 투여 : 클로프로마진(항정신병제제 약물, 구역질 및 구토 등에 사용), 프로클로르페라진 (메스꺼움, 편두통 및 불안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), 메토클로프라마이드(구역질과 구토를 치료, 예방하는데 흔히 사용됨)
- 마로피턴트(개의 멀미와 구토를 치료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됨), 메클리진(멀미와 현기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), 디펜히드라민(알레르기의 치료제), 스코폴라민(멀미와 구토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), 온단세트론(멀미 또는 전정 신경 장애인 경우)
3. 피가 섞여 나오는 경우
- 12시간 동안 사료와 물 공급 중단
- 탈수 방지를 위해 수액 공급
- 위궤양이 의심될 경우 : 수크랄페이트(위궤양, 위식도 역류질환, 방사선 직장염, 위염 등을 치료, 스트레스성 궤양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), 시메티딘(위장 내에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), 라니티딘(위궤양 또는 역류성 식도염 치료에 사용, 미국 FDA는 이 약물을 퇴출), 파모티딘을 투여
4. 스크린 검사를 통해서 원인을 치료한다.
◎ 구토와 관련 의심되는 질병 등
1. 위장의 염증 : 급 만성위염, 위장염, 위·장의 궤양, 디스템퍼, 파보바이러스, 출혈성 위장염, 코로나바이러스 장염, 살모넬라 증
2. 인두 식도의 이상 : 윤상 인두의 경련, 우대동맥궁 잔존, 식도 경색, 식도 경련, 식도 협착, 식도 게실
3. 위장의 이상 : 급성 위확장과 염전, 장폐색증, 장중첩, 위·소장 내 이물, 헤르니아, 유문의 협착과 경련
4. 신기능 장애 : 레토스피라 감염증, 신부전, 요 독증, 사구체신염
5. 중독 물질 흡수 : 납, 비소, 인 중독, 비타민 D 과잉증
6. 회충 감염
7. 멀미, 급성 췌장염, 복막염, 급·만성간염, 비만증, 복강 내 종양
8. 간과 간 주위의 장기 문제 : 간, 담도계, 췌장 등을 확인한다.
'증상에 따른 질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변 곤란(변비) (0) | 2022.08.17 |
---|---|
흑토증(Melena)과 혈변배설(Hematochezia) (0) | 2022.08.16 |
설사(Diarrhea) (0) | 2022.08.16 |
연하곤란(Dysphagia), 음식물 역류(Regurgitation) (0) | 2022.08.13 |
구취(halitosis) (0) | 2022.08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