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대변의 색깔, 점도, 냄새, 설사의 빈도는 설사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임
◎ 원인
1. 전신 질병 증상이 없는 경우
- 사료의 변질
- 사료에 대한 민감성 : 부패된 음식물, 대변, 풀 섭취시
- 갑작스러운 사료 변경 (급성 설사)
- 기생충 감염 : 콕시디아(coccidian), 회충(roudworms) 등
- 지방 또는 우유의 과다 섭취
- 미주 신경의 자극
- 정신적 스트레스 : 여행이나 환경 변화로 인한 급성 설사 유발
- 쓰레기와 같은 불결한 것, 자극성 물질을 먹었을 경우
- 대변을 먹는 경우 : 영양 부족, 당뇨병, 스테로이드 과량 투여시
2. 전신 질병 증상이 있고 급성 소장 원발성 설사
- 위, 장 계통의 원인이 아닌 간 질환, 췌장염 등으로 인한 경우
- 위, 장 계통의 원인인 경우 : 출혈성 장염, 장내 감염(세균, 곰팡이, 리켓치아, 콕시듐, 바이러스-바보바이러스 감염시 생명 위험, 디스템프, 코로나 바이러스)
- 염증성 대장염
- 네오플아시아
- 이물질로 인한 폐색(장난감, 동전, 작은 천류)
- 기생충 감염
- 삼투성이 높은 사료(꿀, 설탕)의 과다 섭취
- 오염된 사료의 섭취
- 독성 물질
3. 소장 원발성과 동시에 만성적인 설사인 경우
- 위 장 계통에 원인이 아닌 간 질환
- 만성 췌장염에 의한 소화효소 분비의 저하
- 간 또는 담도의 질환으로 담즙소화액 분비의 저하
- 지속적인 사료의 과다섭취
- 소장이 원인인 경우 : 사료 민감성, 감염(세균, 곰팡이, 바이러스), 염증성 대장염, 네오플아시아, 이물질로 인한 폐색, 기생충 감염, 소장에서 세균의 증식
- 윰모 위측
- 임파관확장증
- IBD(염증창자질환)
- 헬리코박터 감염(Helicobacter infextion)
※ 소장, 대장성 설사 구분
분류 | 소장 | 대장 |
설사량 | 증가(많음) | 감소(소량) |
빈도 | 정상, 조금 증가 | 증가(1시간 내) |
지방설사, 거품 | 있음 | 없음 |
점액 | 거의 없음. | 있음 |
흑토증(설사색이 검은 것) | 있음 | 없음 |
혈액 유무 | 거의 없음. | 있음 |
이급후증(잔변감으로 인한 긴장감) | 없음 | 있음 |
체중감소 | 있음 | 거의 없음 |
구토 | 있음 | 있음 |
식욕 | 정상 혹은 감소 | 정상 |
복명(청진시 복강소리) | 소리있음 | 소리없음 |
4. 대장성 만성 설사
- 사료 민감성
- 감염 : 세균, 해조류, 곰팡이, 기생충, 바이러스 감염(고양이)
- 염증성 대장염
- 이물질 등에 의한 장 폐색
- 스트레스성 및 자극성 대장염
- 항생제 과다투어에 의한 대장의 정상세균총의 사멸
- 대장의 pH저하에 의한 정상세균총의 사멸 및 병원성세균의 균교대 현상
◎ 증상
1. 식욕저하, 거친피모, 혈변, 복통, 탈수, 구토, 발열, 체중 감소
2. 소장성, 대장성 설사 구분
◎ 진단
1. 다른 증상 없이 급성 설사인 경우
- 1시간 내 소량씩 자주 : 대장염증 의심
- 1시간 내 대량 3~4번 경우 : 소장염증 의심
- 육안으로 대변의 색으로 진단
대변 색 | 진단 |
초코렛, 갈색 | 정상 |
쌀과 같은 하얀 반점 | 촌충 |
회색 | 담관 혹은 췌장 문제 |
초록 | 풀 과다 먹음, 담낭 문제 |
타르(검정) 색 | 장 상부 출혈 의심 |
오렌지, 노랑색 | 간 또는 담관 질병 |
붉은 색 줄무늬 | 항문 상처 |

- 대변에서 기생충 검사
- 설사 내용물의 악취 점검 : 비린내 악취 시 파보바이러스 의심, 악취 시 세균감염 의심
2. 다른 증상을 동반한 소장성 설사
- 혈액 검사
- 혈청 검사
- 분석
- 대변 검사
- X-rays 검사
- 초음파 검사
- 내시경 검사
3. 대장성 만성 설사
- 혈액 검사
- 대변 검사
- 직장 검사 : 염증 유무, 세균 감염 유무 등
- X-Ray
- 내시경 검사
- 사료급여량 조사 : 대장의 수분 흡수 (과다급여시 무른 변 또는 설사, 과소급여시 변비 유방)
◎ 치료
1. 다른 질병 증상이 없이 급성 설사인 경우
- 12~48시간까지 소화력이 높은 사료 소량씩 자주 공급, 심한 경우 사료 공급 중단, 구토가 없으면 소량씩 자주 물 공급, 설사가 완하되면 프리바이오틱 파이브가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 사료 소량을 공급
- 쌀, 파스타와 삶은 닭고기 혼합 음식을 소량 공급하면 도움이 된다.
- 유제품이 원인인 경우 :프로바이오틱 공급
- 껍질 벗긴 감자 끓여서 공급
- 파모산피란텔이나 펜벤다졸을 투여하여 구충한다.
- 설사가 심하면 마약성 지사제 사용(고양이는 주의)
2. 다른 질병 증상이 없이 급성 소장성 설사인 경우
- 12~48시간까지 사료 공급 중단, 필요하면 항생제 처방
- 탈수 방지 수액 공급(Dextrose)
- 완치 후 소량, 서서히 사료 공급
3. 만성 소장성 설사
- 지사제, 수액 공급, 필요하면 항생제 처방
- 프로바이오틱 공급
- 필요시 사료 교체
4. 만성 대장성 설사
- 지사제, 수액 공급, 필요하면 항생제 처방
- 프로바이오틱 공급
- 필요시 사료 교체
- 사료급여량의 감소
5. 세균성 설사
- 악취를 동반한 세균성 설사의 경우 소장 및 대장의 내용물이 완전히 배설될때까지 수일간 음식의 급여 중단 및 수액 공급(지사제의 사용금지)
- 항생제의 지속적인 투여
6. 기생충 설사
- 설사의 내용물에 흰색의 기생충사체가 함유될 경우, 4~7일간 음식의 급여 중단 및 수액 공급(지사제의 사용 금지)
- 기생충이 살아서 항문으로 나올 경우에는 기생충약 투여(panacur, drontal dolpac)
- 항생제의 지속적인 투여
◎ 급성설사와 관련되어 의심할 수 있는 질병들
1. 위장염 : 구토, 복부 압통, 탈수, 발열, 혈변, 식욕부진
2. 급성대장염 : 배에 힘을 줌, 빈혈, 탈수, 혈변
3. 파보 바이러스 감염증 : 구토, 혈변, 탈수, 심근염, 집단발생 높음
4. 디스템퍼 : 발열, 호흡 곤란, 결막염, 기침, 비루, 신경증상, 발바닥 딱딱함, 피부발진
5. 캠피로박타 감염증 : 윈기쇠약, 혈변, 탈수, 4개월 이하 어린 개에 주로 발생
6.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증 : 신생자견, 지속적 울음, 신경증상, 식욕부진, 호흡촉박, 복통
7. 개회충증 : 구토, 식욕부진, 복부팽대, 폐렴
8. 콕시디움 : 점액변, 탈수, 빈혈, 발열, 식욕감퇴
9. 장폐색증 : 구토, 점액변, 복통, 고창, 다음 다갈, 탈수
10. 발란티디움 대장염 : 혈변, 이급후증, 야윔
11. 살모넬라증 : 점혈변, 발열, 탈수, 구토, 복통
12. 톡소플라스마증 : 발열, 기침, 시력장애, 운동장애, 신경증상
13. 아메바성 대장염 : 점혈변, 이급후증
14. 로타바이러스 감염증 :탈수, 말기 저체온증, 순환자애, 점혈변
15. 코로나바이러스 장염 : 구토, 원기쇠약, 식욕절폐, 혈변, 탈수, 발열 없음
16. 비소 중독 : 구토, 복통, 연하곤란
17. 인 중독 : 구토, 복통, 쇽, 황달 출혈
18. 납 중독 : 구토, 복통, 빈혈, 신경증상
◎ 만성 설사와 관련되어 의심할 수 있는 질병들
1. 만성췌장염 : 악취 설사, 지방변, 야윔, 복통, 식욕 이상항진
2. 트리코모나스 장염 : 점액변, 혈변, 식욕저하, 빈혈, 졸음
3. 영양분 흡수불량 증후군 : 대량변, 지방변, 수렴제 불응 설사
4. 단백누출성 위장염 : 부종, 복부팽대, 빈혈, 저단백 혈증
5. 림프 육종 : 체표림파절 종대, 호흡곤란, 빈혈, 림프구 증가
6. 아밀로이드증 : 다음다뇨, 탈수, 야윔, 부종, 빈혈, BUN 증가
7. 히스토플라즈모증 : 기침, 발열, 임파절 종대, 포도막염
8. 칸디다증 : 구내염, 폐렴, 외이염, 각막염
9. 콕시디움증 : 기침, 발열, 호흡곤란, 파행, 피부농양과 괴양, 복수, 흉수, 황달 요독증, 혈변, 자가감염
10. 지알디아증 : 장점막의 흡수방해, 설사와 변비의 반복, 수양성 또는 거품성 설사, 체중감소
11. 조충증 : 복통, 야윔, 변비
'증상에 따른 질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배변 곤란(변비) (0) | 2022.08.17 |
---|---|
흑토증(Melena)과 혈변배설(Hematochezia) (0) | 2022.08.16 |
구토(Vomiting) (0) | 2022.08.14 |
연하곤란(Dysphagia), 음식물 역류(Regurgitation) (0) | 2022.08.13 |
구취(halitosis) (0) | 2022.08.12 |
댓글